안녕하세요 오늘은 변압기 이상 검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최근에 전력설비는 전력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계통이 확대됨에 따라서 구성기기가 대용량화,
초고압화 되고 있으며 변전소는 무인화 되고 있는 추세 입니다.
이에 따라 변압기의 이상징후를 On-Line 상태에서 상시 감시하여 장래에 일어날 사태등을
예측하고 그것이 치명적이기 이전에 처리하는 예방보전기술 중심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SCADA와 연계, 신뢰성 향상과 연계 시킵니다
On-Line 예방진단이 가능하면 Interruption 구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됨
① 유중가스분석법
변압기 내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상개소에 과열이 발생하게 되고 절연체나 절연유가
열에 의해서 분해되어 Gas가 발생합니다.
이 Gas를 분석하여 고장을 파악하는 것을 유중가스 분석법 이라고 합니다.
절연유를 채취하여 추출된 가스의 종류 및 양을 파악하여 아래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내부이상 유무판정
- 내부이상 상태진단
- 운전계속 가능성 판단
- 해체점검 여부의 판단
1) 변압기 내부의 이상과 발생가스
ⓐ 도체 가열
도체코일에 과열부분이 발생하면 Co(일산화탄소), Co2 (이산화탄소) 가 발생됩니다.
Co2 / Co의 체적비가 커질수록 높은 온도가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 절연유 가열
절연유 과열은 순환전류에 의한 규소강판의 과열, 도체의 과열, 구조적인 결함 등으로
기인하며, 주 생산가스 C2H2 (아세틸렌)는 500 ℃ 가 넘어서부터 생성되며, 700 ℃
가 넘는 고온에서는 CH4(메탄)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500 ℃ 초과 : 아세틸렌
700 ℃ 초과 : 메탄
ⓒ 부분방전
부분방전이 빈공간 (Void)에서 절연체 자체 혹은 절연유 및 프레스보드에서 발생하면
주로 많은 양의 수소가 생성됩니다.
ⓓ 아킹
아킹은 높은 전류와 온도를 포함합니다. 아킹온도 1500℃~3000℃ 에서의 절연유의
완전한 분해는 주로 많은 양의 아세틸렌을 발생시키며 수소카본도 생성됩니다.
아세틸렌 + 수소카본
댓글 쓰기